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Close Menu 닫기

BOARD

Q & A

BOARD > Q & A

무료황금성게임 ㅰ 슬롯무료게임 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10-31 06:56

본문

야마토 2 다운로드 ㅰ 바다이야기 파칭코 ㅰ∑ 7.rea731.top ≪고종이 배재학당 설립자인 아펜젤러 선교사에게 선물한 전통 가구 '나전산수무늬삼층장(螺鈿山水文三層欌)'의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서 교부식이 30일 서울시 정동에 위치한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서 열려 조보현 학교법인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사진은 김종헌(왼쪽 넷째) 배재학당역사박물관장이 이종희(오른쪽 넷째)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장에게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서를 받고 있는 모습. 배재대 제공


근대 교육의 출발점이자 조선 왕실과 서양 선교의 교류를 상징하는 문화유산이 모습을 드러냈다.
30일 서울 정동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서 '나전산수무늬삼층장(螺鈿山水文三層欌)'이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서 교부식이 열렸다.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고종이 배재학당 설립자 국민은행 전세자금대출 서류 인 아펜젤러 선교사(H.·G. Appenzeller·1858-1902)에게 하사한 전통 가구다.
이날 행사에는 조보현 학교법인 배재학당 이사장, 김종헌 배재학당역사박물관장, 이종희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장, 이종숙 국가유산청 민속유산팀 연구관, 신탁근 전 온양민속박물관장,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 김정희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이사장, 김삼대자 청약저축 금리 전 문화유산위원, 양석중 국가무형문화유산 소목장 이수자 등이 참석했다.



국가민속문화유산인 나전산수무늬삼층장(螺鈿山水文三層欌). 배재대 제공


앞서 국가유산청은 지난 8월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이 소장한 해당 문화유산을 국 씽씽론 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19세기 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높이 180.3㎝, 가로 114.9㎝, 세로 54.6㎝ 규모에 문자와 꽃, 과실 등 다채로운 무늬가 나전으로 장식됐다. 정면과 양측면은 산수문과 산수인물문(자연경관과 인간의 모습을 함께 묘사) 위주로 구성돼 있고 귀갑문(거북이 등껍질처럼 겹친 육각형으로 연 금융중개지원대출 결된 무늬)처럼 여러 나전 무늬가 장식돼 있다. 문짝 6개 안쪽엔 과석 화훼도(괴상한 모양의 돌과 화초가 그려진 그림)가 장식돼 화려함을 보여준다. 상단부 천판의 돌출부는 짧게 하고 앞면 전체 구조를 판재처럼 가공하는 통영 지역 제작 양식으로 만들어졌다.
김종헌 배재학당역사박물관장은 "19세기 말 왕실, 상류층이 분가나 출가할 때 준비하는 소액바로대출 생필품으로 당시 문화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료"라며 "고종이 당시 조선에서 배재학당을 설립해 서양식 근대교육에 헌신한 아펜젤러 선교사에게 감사 의미로 전한 선물로 조선 왕실과 외국인 선교사 간 관계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1960년대 중반 미국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의 가정 거실에 놓인 '나전산수무늬삼층장' 모습. 해당 삼층장은 고종이 배재학당 설립자 아펜젤러 선교사에게 하사한 유물로, 아펜젤러 가문이 대대로 보관해왔다. 배재대 제공


해당 유물은 아펜젤러 집안에서 대를 이어 보관해오다가 2022년 그의 외증손녀 다이앤 크롬 여사가 문화유산적 가치와 아펜젤러의 헌신을 알리기 위해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 기증하며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배재학당은 1885년 조선에 입국한 아펜젤러가 '유용한 인재를 기르는 집'이라는 뜻으로 세운 학교로, 오늘날 배재대·배재중·배재고·부속유치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조보현 배재학당 이사장은 "배재학당 창립 제140주년인 올해 아펜젤러 선교사의 공을 높이 산 유물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돼 감회가 남다르다"며 "배재학당이 우리나라 근대사의 한 축을 맡아 인재를 양성했다는 사명감이 돋보이는 장면"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은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을 기념해 '고종황제의 선물, 나전산수무늬삼층장' 특별 전시를 마련했다. 전시는 30일부터 내달 30일까지 매주 토요일에 공개되며, 관람료는 무료다.

배너모음

이전 다음 멈춤 시작

  •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 한국전자파학회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 한국통신학회
  • 한국정보기술학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한국세라믹기술원
  • RF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