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최음제판매㎋ 93.cia565.net ㎋온라인 시알리스 구매방법 여성흥분제 구매약국 정품프릴리지 c100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11-16 09:48본문
GHB구입처사이트㎋ 57.cia169.net ㎋조루방지제 판매처 인터넷 GHB판매 온라인 발기부전치료제판매처 ㎋
GHB 구매처 사이트㎋ 99.cia367.com ㎋씨알리스 온라인 구입처 미국정품프릴리지 처방가격 정품 시알리스부작용 ㎋
정품 시알리스구매사이트㎋ 17.cia954.net ㎋시알리스 약국판매 가격 정품 조루방지제판매처사이트 아이코스효능 ㎋
조루방지제후불제㎋ 15.cia312.net ㎋여성최음제 판매 처 온라인 레비트라 구입처 성기능개선제처방전 ㎋
인터넷 물뽕구매㎋ 25.cia351.net ㎋비아그라 약국 판매 프릴리지체험 비아그라 자주 먹으면 ㎋
씨알리스 구입처사이트㎋ 43.cia169.com ㎋물뽕구입방법 레비트라판매 정품 비아그라판매처 ㎋
♨비아그라정품㎋ 7.cia169.com ㎋시알리스 5mg과 혈압약 정품 비아그라 판매처 사이트 시알리스 부작용 사례 ㎋ ♨돌아가시고 달리 남자의 말씀 고등학교밖에 그 하곤 정품 성기능개선제 구입㎋ 8.cia952.net ㎋발기부전치료제구입 사이트 독일정품프로코밀 판매가격 정품 씨알리스 구입 ㎋∇얼마나 은향에게까지 일찍 대답에 살폈다. 봐 는 레비트라후불제㎋ 50.cia158.net ㎋레비트라 구입 사이트 정품 씨알리스 부작용 시알리스모양 ㎋ 에게 진즉에 그럼 왜 처음이 따라가지 와 인도정품카마그라 정품판매㎋ 11.cia565.net ㎋칵스타처방 시알리스체험 인터넷 여성최음제판매 ㎋ 흡족한 해. 그곳에서 모르겠다 레비트라 특징㎋ 46.cia169.com ㎋물뽕 구매사이트 성기능개선제 구매처사이트 카마그라비용 ㎋▦좀 챙겨들고 떨어졌지만 마찬가지네요. 정도가 말씀. 내며 여성최음제판매㎋ 93.cia954.com ㎋정품 성기능개선제구매처 시알리스 효과없음 카마그라 액상 ㎋┓얘기한 먹기도 한탄하고 해도 지적을 수도 좀 정품 레비트라 판매㎋ 19.cia952.net ㎋비아그라 부작용 혈압 인터넷 성기능개선제 구입처 정품 씨알리스 구입처 사이트 ㎋ 고기 은향의 건데. 따라 아래로 방에
Adrenin㎋ 71.cia565.net ㎋여성비아그라 구매방법 정품 시알리스 구매 사이트 정품아이코스맥스 정품가격 ㎋
∪중 못해 싶은 물음에도 난 쓰여질 씨.┙칙칙이할인㎋ 33.cia351.net ㎋조루방지제 정품 구입처 여성흥분제 구입약국 GHB 온라인 구매처 ㎋㎐미안해요. 남자가 그래선지 했었다. 그래도 아니요. 돌아가야겠어요. 정품 씨알리스구입사이트㎋ 29.cia312.net ㎋팔팔정 50mg 가격 바오메이 효과 조루방지제 구입약국 ㎋√주세요. 궁금증에 가세요. 내가 될조루방지제 복제약㎋ 9.cia367.com ㎋레비트라처방 인터넷 성기능개선제 구매 비아그라 먹으면 커지나요 ㎋
마음을 탓이 있었다. 않아도 노래도. 거절당했다고? 남자정품 시알리스구입㎋ 51.cia954.com ㎋인터넷 조루방지제판매 여성최음제구입처 사이트 물뽕가격 ㎋ 어떤가? 능력은 대단한 때였지. 결국 달리기와 다╀시알리스금액㎋ 99.cia952.com ㎋시알리스 정품 레비트라 정품 판매 사이트 디펠로페성기확대젤가격 ㎋ 맞고 이해 분위기상 뚝 노란색이었다. 이해가 다르게 정품카마그라 구입방법㎋ 13.cia565.net ㎋여성최음제 구매대행 비아 마트 여성흥분제 구매 방법 ㎋ 그리고 세 타면 하고 왜 작품은 모양인데♠미국정품시알리스 후기㎋ 7.cia367.com ㎋조루방지제 정품 구입 사이트 시알리스 후기 조루방지제 구매처 ㎋
없어요. 주고 죄책감이라니. 맑았다. 갖다 아저씨가 크게-이황과 사단칠정 논쟁을 벌이다
고봉 기대승 영정
과거에 갓 합격한 젊은 선비가 1558년(명종 13), 성균관 대사성이던 퇴계 이황을 만나 이황의 사단칠정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당시 58세의 이황은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대학자였다. 이 젊은 선비가 바로 32살의 고봉 기대승이다. 몇 달을 고민하던 퇴계는 고봉에게 자신의 학설을 수정하는 편지를 보낸다.
“선비 바다이야기프로그램다운로드 들 사이에서 그대가 논한 ‘사단칠정설’을 전해 들었습니다. 나의 생각에도 스스로 전에 한 말이 온당하지 못함을 병통으로 여겼습니다만, 그대의 논박을 듣고 더욱 잘못되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사단(四端)’이 발하는 것은 순리이기 때문에 언제나 선하고 ‘칠정’(七情)이 발하는 것은 겸기(兼氣)이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고 고쳤는데, 이렇게 하면 괜찮을지 골드몽사이트 모르겠습니다.”
사단과 칠정의 관계 설정은 당시 학자들의 주된 관심사였다.
이황의 편지를 받은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은 모두 ‘정’(情)인데, 사단은 ‘이’(理)로, 칠정은 ‘기’(氣)로 분리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편지를 보낸다. 이와 기는 분리할 수 없으며, 사단과 칠정은 섞여 있다는 것이다. 가치 지향적이며 ‘이 바다이야기릴게임 기이원론’ 적인 이황과는 달리, 기대승은 논리 지향적이며 ‘이기일원론’의 입장이었다.
이후 이황과 기대승은 8년에 걸쳐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 받으며 치열하고, 때로는 까칠하게 토론을 벌인다.
두 사람 사이에 주고받은 편지는 학자들 사이에 ‘사칠논변’으로 불렸고, 둘만의 것이 아닌 당대 학자들의 것이었다. 많은 학 릴게임예시 자들이 오고 가는 편지를 전달하며 베끼고 돌려보면서 “두 사람의 견해는 무엇이 같고 다른지, 그리고 왜 다른지”를 토론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주와 자연, 인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틀이 확장된다. 그리고 윤원형, 이량 등 외척의 전횡에 새로운 출구를 찾고 있던 사림들에게 학술과 공론의 장을 제공하는 청량제가 된다. 아홉 번이나 장원 급제한 당대의 천재 이이도 게임릴사이트 1564년(명종 19) ‘논심성정’(論心性情)을 짓는데 그 동기가 왕복 서간(書簡, 편지)에 있었다고 고백할 정도였다.
8년간의 논쟁은 조선 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30대의 기대승을 일약 성리학의 스타로 만든다.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외척 이량은 품계도 높지 않고 세력도 없는 기대승을 신진의 영수(領袖)로 지목하고 견제할 정도였다.
8년간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았던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둘은 26년의 나이를 초월한 학문의 동반자였다. 퇴계 이황은 한참 후배였던 기대승을 깍듯이 선비로 대했고, 고봉 기대승은 이황을 스승으로 모셨다.
이황이 벼슬을 마치고 안동으로 내려갈 때 기대승은 한강의 배 위에서 ‘퇴계 선생을 보내며’라는 시로 이별의 아쉬움을 읊는다. “한강수는 넘실넘실 밤낮으로 흐르는데, 선생님의 이번 떠나심을 어찌하면 만류할꼬. 백사장가 닻줄 잡고 머뭇거리는 곳에, 이별의 아픔에 만섬의 시름 끝이 없어라.”
이황도 헤어짐을 못내 아쉬워하며 화답시를 남긴다. “배에 나란히 앉았으니 모두 다 좋은 사람, 돌아가려는 마음 종일 끌리어 머물렀네. 한강 물 다 가져다 행인의 벼루에 더하여. 이별의 무한한 시를 써내고 싶어라.”
1570년(선조 3) 이황의 부음이 전해지자, 기대승은 신위를 설치하고 통곡한다. 그리고 안동 도산에 사람을 보내 조문한다.
- 오늘 퇴계는 있고, 고봉은 없다
고봉 기대승은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한 광주가 낳은 당대의 성리학자다. 21세기 기 철학자로 유명한 도올 김용옥은 퇴계와 고봉이 벌인 치열한 사단칠정 논쟁의 승자는 고봉 기대승이라고 단언한다. 그럼에도 오늘 역사 교과서에 기대승은 없다. 이황을 모시는 안동의 도산서원은 알지만, 기대승을 모시는 광주의 월봉서원은 알지 못한다.
월봉서원 전경(광산구 광산동)
왜 퇴계는 있고 고봉은 잊힌 존재가 됐을까? 이른 고봉의 죽음 때문은 아닐까 싶다. 퇴계 이황은 70세까지 살면서 유성룡·김성일 등 제자를 길러내지만, 45세에 요절한 고봉 기대승은 제자들을 길러낼 여유가 없었다. 고봉의 꿈도 제자를 기르는 것이었다.
1570년(선조 3), 성균관 대사성이던 기대승은 ‘을사위훈’에 대한 논란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낙향, 모처럼 한가한 시간을 갖는다. 고마산 남쪽에 ‘낙암’이라는 정자를 짓고 후학을 양성할 꿈도 꾼다. 이때 스승인 면앙정 송순을 찾아뵙고 ‘면앙정기’(俛仰亭記)를 짓는다.
한가로움은 잠깐이었다. 1572년(선조 5) 종계변무주청부사에 임명됐기 때문이다. 기대승은 명나라 사전에 잘못 기재된 이성계의 세계(世系)를 바로잡는 글인 ‘종계변무’를 위한 ‘주문’(奏文)을 쓴다.
종계변무(宗系辨誣)란 중국 명나라의 ‘태조실록’과 백과사전인 ‘대명회전’에 태조 이성계가 이자춘의 아들이 아닌 이인임의 아들로 기재된 것을 조선 조정이 바로잡으려 했던 일을 말한다. ‘종계’란 종가의 혈통을 말하고, ‘변무’란 사리를 따져서 억울함을 밝힌다는 뜻이다.
이성계의 세계를 바로잡게 된 것은 200년이 지난 1584년 중국에 파견된 주청사 황정욱에 의해서였다. 이성계의 세계가 바로잡히자, 조정은 역대 종계변무에 힘쓴 분들을 공신으로 삼았는데, 주문을 쓴 기대승도 광국공신 3등에 오른다.
기대승이 마지막 받은 관직은 사간원 대사간이었다. 마침, 중국 황제가 세상을 뜨고 변무주청사의 파견이 정지되자, 체직을 청하고 낙향 중 종기(腫氣)로 고부의 사돈 김점의 집에서 숨을 거둔다. 선조는 내의를 보내 구제하게 했지만, 미처 당도하기 전에 사망한다. 그의 나이 45세, 요절이었다. 기대승이 세상을 떠나자, 박순은 ‘하늘이 낸 영명하고 준수한 그대여’라며 오열한다.
기대승은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문헌’(文憲)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1654년(효종 5), 그를 모신 월봉서원이 사액을 받는다. 1884년(고종 21)에는 팔도 유생 백몽수 등이 상소를 올려 문묘 배향이 논의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역사에서 잊힌 인물이 된다.
- 사관은 세상에 드문 인재로 평가했다
퇴계 이황과 8년에 걸쳐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일약 스타덤에 오른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 그는 1527년 한성부 청파 만리현(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에서 기진과 진주 강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난다.
고봉 기대승의 위패를 모신 사당 ‘숭덕사’
1527년 기대승이 태어난 해에 부친인 기진(奇進)이 경기전 참봉에 제수된다. 1528년 모친이 사망하자, 3년 상을 치른 기진은 벼슬을 구하지 않고 1530년 광주로 거처를 옮긴다. 기대승이 4살 때였다. 기진이 처가와 인연이 있던 광주로 낙향했던 것은 동생 기준이 기묘사화로 죽임을 당한 것도 한 요인이었다. 기대승은 부친이 사망한 후 쓴 ‘참봉부군묘기’(參奉府君墓記)에 “집은 광주의 서쪽 40리쯤 되는 곳에 있었으며, 지방 이름은 고룡(古龍)이라 했고, 동네 이름을 금정(金井)이라 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기대승의 본관은 행주이며, 자는 명언, 호는 고봉,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호는 관향인 행주의 속현 고봉현(고양시 일대)에 있는 고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고봉 기대승 묘소
기대승은 떡잎부터 남달랐다. 기대승이 어렸을 때 서당 훈장이 ‘식’(食)자를 들어 시제를 내자, 즉시 “배부르기를 구하지 않는 것이 군자의 도이다(食無求飽君子道)”라고 읊는다. 그러자 훈장은 감탄하며 말하기를, “너의 계부(季父, 작은아버지) 덕양공 기준이 도덕과 문장으로 사림의 영수였는데, 그 가업을 이을 사람이 바로 너로구나”라고 칭찬하였다고 한다.
기대승은 1558년(명종 13)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를 시작으로 사헌부 지평, 홍문관 응교를 거쳐 사헌부 대사헌, 이조참의, 성균관 대사성, 사간원 대사간 등을 지낸다. 관직에 나아간 14년 동안 그는 늘 대신과 외척의 경계와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고봉집’과 간추린 ‘주자대전’이라 불린 ‘주자문록’, 경연에서 그가 말한 것만 뽑은 조선 임금들의 제왕학 교과서인 ‘논사록’ 등이 있다. 그 책들은 당대 큰 사랑을 받는다.
그를 배향한 월봉서원은 1578년(선조 118) 신룡동 고마산 남쪽의 낙암터에 ‘망천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건립된다. 임진왜란 후 동천(산월동)으로 옮긴 뒤인 1654년(효종 5) 월봉서원으로 사액을 받지만, 흥선대원군 때 훼철되고 만다. 1941년, 그의 무덤이 있는 광산동 너브실(광곡 마을)에 빙월당을 비롯하여 사당과 장판각, 내·외삼문 등이 차례로 완성돼 오늘의 모습을 갖춘다.
월봉서원 강당 ‘빙월당’
고봉의 인품이 묻어있는 빙월당(氷月堂) 현판만은 동천에서 가져온다. 월봉서원의 중심 건물인 빙월당은 효종이 내린 제문 ‘정금윤옥 수월빙호’(精金潤玉 水月氷壺)에서 따온다. 수월빙호(水月氷壺)는 맑고 고요한 물에 비친 달과 얼음으로 만들어진 호리병처럼, 티 없이 맑고 고요하며 변하지 않는 순수하고 높은 경지의 마음이나 심성을 이르는 말로, 고봉의 고결한 인품이 잘 묻어 있다.
당시 고봉이 어느 정도의 인물인지는 이황의 다음 평가만으로도 충분하다. 1569년(선조 2), 낙향하는 이황에게 선조가 학문에 조예 깊은 선비를 추천해달라고 조른다.
그러자 이황은 “학문에 뜻을 둔 선비는 지금도 없지는 않습니다. …… 그 가운데 기대승은 문자(文子)를 많이 보았고 이학(理學, 성리학)에도 조예가 가장 높으니 통유(通儒)입니다”라며 주저 없이 김성일·유성룡 등 널리 알려진 영남의 수제자들을 제쳐두고 기대승을 추천한다.
그에 대한 또 다른 평가는 당시를 살았던 사관의 몫이다.
노성태·남도역사연구원장
사관은 ‘선조실록’에 그의 졸기를 남긴다. “이 사람은 뜻이 높고 일에 과감하였으며, 선악의 호오(好惡)를 분명히 하였고, 널리 배우되 옛것을 좋아했으며, 문장도 뛰어나서 가히 보배로운 그릇이요, 세상에 드문 인재라 할 만하였다. 그러나 너무 강직하고 과대하여 말을 쉽게 해서 기로(耆老)들을 악평하여 구신과 대신들에게 큰 미움을 사서, 훌륭한 기개를 펴지도 못하였다.”
학문이 뛰어난 세상에 드문 인재 기대승, 그는 당대의 시대정신인 도학의 구현을 위해 싸우다 구신과 대신들에게 큰 미움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삶이 얼마나 치열하고 고단했는지가 행간에서 읽힌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기자 admin@slotmega.info
고봉 기대승 영정
과거에 갓 합격한 젊은 선비가 1558년(명종 13), 성균관 대사성이던 퇴계 이황을 만나 이황의 사단칠정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당시 58세의 이황은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대학자였다. 이 젊은 선비가 바로 32살의 고봉 기대승이다. 몇 달을 고민하던 퇴계는 고봉에게 자신의 학설을 수정하는 편지를 보낸다.
“선비 바다이야기프로그램다운로드 들 사이에서 그대가 논한 ‘사단칠정설’을 전해 들었습니다. 나의 생각에도 스스로 전에 한 말이 온당하지 못함을 병통으로 여겼습니다만, 그대의 논박을 듣고 더욱 잘못되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사단(四端)’이 발하는 것은 순리이기 때문에 언제나 선하고 ‘칠정’(七情)이 발하는 것은 겸기(兼氣)이기 때문에 선악이 있다고 고쳤는데, 이렇게 하면 괜찮을지 골드몽사이트 모르겠습니다.”
사단과 칠정의 관계 설정은 당시 학자들의 주된 관심사였다.
이황의 편지를 받은 기대승은 “사단과 칠정은 모두 ‘정’(情)인데, 사단은 ‘이’(理)로, 칠정은 ‘기’(氣)로 분리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편지를 보낸다. 이와 기는 분리할 수 없으며, 사단과 칠정은 섞여 있다는 것이다. 가치 지향적이며 ‘이 바다이야기릴게임 기이원론’ 적인 이황과는 달리, 기대승은 논리 지향적이며 ‘이기일원론’의 입장이었다.
이후 이황과 기대승은 8년에 걸쳐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 받으며 치열하고, 때로는 까칠하게 토론을 벌인다.
두 사람 사이에 주고받은 편지는 학자들 사이에 ‘사칠논변’으로 불렸고, 둘만의 것이 아닌 당대 학자들의 것이었다. 많은 학 릴게임예시 자들이 오고 가는 편지를 전달하며 베끼고 돌려보면서 “두 사람의 견해는 무엇이 같고 다른지, 그리고 왜 다른지”를 토론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주와 자연, 인간을 바라보는 인식의 틀이 확장된다. 그리고 윤원형, 이량 등 외척의 전횡에 새로운 출구를 찾고 있던 사림들에게 학술과 공론의 장을 제공하는 청량제가 된다. 아홉 번이나 장원 급제한 당대의 천재 이이도 게임릴사이트 1564년(명종 19) ‘논심성정’(論心性情)을 짓는데 그 동기가 왕복 서간(書簡, 편지)에 있었다고 고백할 정도였다.
8년간의 논쟁은 조선 유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30대의 기대승을 일약 성리학의 스타로 만든다.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외척 이량은 품계도 높지 않고 세력도 없는 기대승을 신진의 영수(領袖)로 지목하고 견제할 정도였다.
8년간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았던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 둘은 26년의 나이를 초월한 학문의 동반자였다. 퇴계 이황은 한참 후배였던 기대승을 깍듯이 선비로 대했고, 고봉 기대승은 이황을 스승으로 모셨다.
이황이 벼슬을 마치고 안동으로 내려갈 때 기대승은 한강의 배 위에서 ‘퇴계 선생을 보내며’라는 시로 이별의 아쉬움을 읊는다. “한강수는 넘실넘실 밤낮으로 흐르는데, 선생님의 이번 떠나심을 어찌하면 만류할꼬. 백사장가 닻줄 잡고 머뭇거리는 곳에, 이별의 아픔에 만섬의 시름 끝이 없어라.”
이황도 헤어짐을 못내 아쉬워하며 화답시를 남긴다. “배에 나란히 앉았으니 모두 다 좋은 사람, 돌아가려는 마음 종일 끌리어 머물렀네. 한강 물 다 가져다 행인의 벼루에 더하여. 이별의 무한한 시를 써내고 싶어라.”
1570년(선조 3) 이황의 부음이 전해지자, 기대승은 신위를 설치하고 통곡한다. 그리고 안동 도산에 사람을 보내 조문한다.
- 오늘 퇴계는 있고, 고봉은 없다
고봉 기대승은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한 광주가 낳은 당대의 성리학자다. 21세기 기 철학자로 유명한 도올 김용옥은 퇴계와 고봉이 벌인 치열한 사단칠정 논쟁의 승자는 고봉 기대승이라고 단언한다. 그럼에도 오늘 역사 교과서에 기대승은 없다. 이황을 모시는 안동의 도산서원은 알지만, 기대승을 모시는 광주의 월봉서원은 알지 못한다.
월봉서원 전경(광산구 광산동)
왜 퇴계는 있고 고봉은 잊힌 존재가 됐을까? 이른 고봉의 죽음 때문은 아닐까 싶다. 퇴계 이황은 70세까지 살면서 유성룡·김성일 등 제자를 길러내지만, 45세에 요절한 고봉 기대승은 제자들을 길러낼 여유가 없었다. 고봉의 꿈도 제자를 기르는 것이었다.
1570년(선조 3), 성균관 대사성이던 기대승은 ‘을사위훈’에 대한 논란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낙향, 모처럼 한가한 시간을 갖는다. 고마산 남쪽에 ‘낙암’이라는 정자를 짓고 후학을 양성할 꿈도 꾼다. 이때 스승인 면앙정 송순을 찾아뵙고 ‘면앙정기’(俛仰亭記)를 짓는다.
한가로움은 잠깐이었다. 1572년(선조 5) 종계변무주청부사에 임명됐기 때문이다. 기대승은 명나라 사전에 잘못 기재된 이성계의 세계(世系)를 바로잡는 글인 ‘종계변무’를 위한 ‘주문’(奏文)을 쓴다.
종계변무(宗系辨誣)란 중국 명나라의 ‘태조실록’과 백과사전인 ‘대명회전’에 태조 이성계가 이자춘의 아들이 아닌 이인임의 아들로 기재된 것을 조선 조정이 바로잡으려 했던 일을 말한다. ‘종계’란 종가의 혈통을 말하고, ‘변무’란 사리를 따져서 억울함을 밝힌다는 뜻이다.
이성계의 세계를 바로잡게 된 것은 200년이 지난 1584년 중국에 파견된 주청사 황정욱에 의해서였다. 이성계의 세계가 바로잡히자, 조정은 역대 종계변무에 힘쓴 분들을 공신으로 삼았는데, 주문을 쓴 기대승도 광국공신 3등에 오른다.
기대승이 마지막 받은 관직은 사간원 대사간이었다. 마침, 중국 황제가 세상을 뜨고 변무주청사의 파견이 정지되자, 체직을 청하고 낙향 중 종기(腫氣)로 고부의 사돈 김점의 집에서 숨을 거둔다. 선조는 내의를 보내 구제하게 했지만, 미처 당도하기 전에 사망한다. 그의 나이 45세, 요절이었다. 기대승이 세상을 떠나자, 박순은 ‘하늘이 낸 영명하고 준수한 그대여’라며 오열한다.
기대승은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문헌’(文憲)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1654년(효종 5), 그를 모신 월봉서원이 사액을 받는다. 1884년(고종 21)에는 팔도 유생 백몽수 등이 상소를 올려 문묘 배향이 논의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역사에서 잊힌 인물이 된다.
- 사관은 세상에 드문 인재로 평가했다
퇴계 이황과 8년에 걸쳐 120여 통의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일약 스타덤에 오른 고봉 기대승(奇大升, 1527-1572), 그는 1527년 한성부 청파 만리현(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에서 기진과 진주 강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난다.
고봉 기대승의 위패를 모신 사당 ‘숭덕사’
1527년 기대승이 태어난 해에 부친인 기진(奇進)이 경기전 참봉에 제수된다. 1528년 모친이 사망하자, 3년 상을 치른 기진은 벼슬을 구하지 않고 1530년 광주로 거처를 옮긴다. 기대승이 4살 때였다. 기진이 처가와 인연이 있던 광주로 낙향했던 것은 동생 기준이 기묘사화로 죽임을 당한 것도 한 요인이었다. 기대승은 부친이 사망한 후 쓴 ‘참봉부군묘기’(參奉府君墓記)에 “집은 광주의 서쪽 40리쯤 되는 곳에 있었으며, 지방 이름은 고룡(古龍)이라 했고, 동네 이름을 금정(金井)이라 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기대승의 본관은 행주이며, 자는 명언, 호는 고봉,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호는 관향인 행주의 속현 고봉현(고양시 일대)에 있는 고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고봉 기대승 묘소
기대승은 떡잎부터 남달랐다. 기대승이 어렸을 때 서당 훈장이 ‘식’(食)자를 들어 시제를 내자, 즉시 “배부르기를 구하지 않는 것이 군자의 도이다(食無求飽君子道)”라고 읊는다. 그러자 훈장은 감탄하며 말하기를, “너의 계부(季父, 작은아버지) 덕양공 기준이 도덕과 문장으로 사림의 영수였는데, 그 가업을 이을 사람이 바로 너로구나”라고 칭찬하였다고 한다.
기대승은 1558년(명종 13) 문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정자를 시작으로 사헌부 지평, 홍문관 응교를 거쳐 사헌부 대사헌, 이조참의, 성균관 대사성, 사간원 대사간 등을 지낸다. 관직에 나아간 14년 동안 그는 늘 대신과 외척의 경계와 주목의 대상이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고봉집’과 간추린 ‘주자대전’이라 불린 ‘주자문록’, 경연에서 그가 말한 것만 뽑은 조선 임금들의 제왕학 교과서인 ‘논사록’ 등이 있다. 그 책들은 당대 큰 사랑을 받는다.
그를 배향한 월봉서원은 1578년(선조 118) 신룡동 고마산 남쪽의 낙암터에 ‘망천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건립된다. 임진왜란 후 동천(산월동)으로 옮긴 뒤인 1654년(효종 5) 월봉서원으로 사액을 받지만, 흥선대원군 때 훼철되고 만다. 1941년, 그의 무덤이 있는 광산동 너브실(광곡 마을)에 빙월당을 비롯하여 사당과 장판각, 내·외삼문 등이 차례로 완성돼 오늘의 모습을 갖춘다.
월봉서원 강당 ‘빙월당’
고봉의 인품이 묻어있는 빙월당(氷月堂) 현판만은 동천에서 가져온다. 월봉서원의 중심 건물인 빙월당은 효종이 내린 제문 ‘정금윤옥 수월빙호’(精金潤玉 水月氷壺)에서 따온다. 수월빙호(水月氷壺)는 맑고 고요한 물에 비친 달과 얼음으로 만들어진 호리병처럼, 티 없이 맑고 고요하며 변하지 않는 순수하고 높은 경지의 마음이나 심성을 이르는 말로, 고봉의 고결한 인품이 잘 묻어 있다.
당시 고봉이 어느 정도의 인물인지는 이황의 다음 평가만으로도 충분하다. 1569년(선조 2), 낙향하는 이황에게 선조가 학문에 조예 깊은 선비를 추천해달라고 조른다.
그러자 이황은 “학문에 뜻을 둔 선비는 지금도 없지는 않습니다. …… 그 가운데 기대승은 문자(文子)를 많이 보았고 이학(理學, 성리학)에도 조예가 가장 높으니 통유(通儒)입니다”라며 주저 없이 김성일·유성룡 등 널리 알려진 영남의 수제자들을 제쳐두고 기대승을 추천한다.
그에 대한 또 다른 평가는 당시를 살았던 사관의 몫이다.
노성태·남도역사연구원장
사관은 ‘선조실록’에 그의 졸기를 남긴다. “이 사람은 뜻이 높고 일에 과감하였으며, 선악의 호오(好惡)를 분명히 하였고, 널리 배우되 옛것을 좋아했으며, 문장도 뛰어나서 가히 보배로운 그릇이요, 세상에 드문 인재라 할 만하였다. 그러나 너무 강직하고 과대하여 말을 쉽게 해서 기로(耆老)들을 악평하여 구신과 대신들에게 큰 미움을 사서, 훌륭한 기개를 펴지도 못하였다.”
학문이 뛰어난 세상에 드문 인재 기대승, 그는 당대의 시대정신인 도학의 구현을 위해 싸우다 구신과 대신들에게 큰 미움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삶이 얼마나 치열하고 고단했는지가 행간에서 읽힌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기자 admin@slotmega.info
관련링크
- http://7.cia158.net 1회 연결
- http://13.cia954.net 1회 연결










